화정역안과, 드림렌즈 근시 완화에 효과가 있을까?

I

부모님들이 자녀의 시력이 떨어진 걸 처음 알게 되는 순간, 참 다양한 감정이 오가게 됩니다.

가만히 두면 진행 속도가 빠르고, 어느새 고도근시에 가까워져 있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진료실에서 만나게 되죠.

그렇다면, 꼭 안경 외에는 방법이 없는 걸까요?

수술은 아직 너무 이르고, 일상생활이 불편한 안경 말고 ‘착용으로 근시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많은 부모님들이 궁금해하시는데요.

왜 망막에 상이 제대로 맺히지 않을까요?

근시는 눈으로 들어온 빛이 망막 앞에서 초점을 맺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현상은 대부분 두 가지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결국, 시력 저하라는 하나의 증상이지만, 그 원인과 구조를 알게 되면 어떤 방식으로 개선해야 할지도 명확해지죠.

    드림렌즈의 원리는 ‘자면서’ 교정되는 렌즈입니다

    드림렌즈는 일상생활 중 착용하지 않고, 밤에 자는 동안만 착용하는 특수한 콘택트렌즈입니다.

    다만 개인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유지되는 교정 효과는 하루~수일 정도로 다를 수 있습니다.

    드림렌즈의 핵심은 ‘주변부 초점 조절’

    드림렌즈와 안경의 차이점은 단지 착용 방식만이 아닙니다.

    이때 뇌는 주변 초점을 망막에 맞추려는 방향으로 안구 성장을 유도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안구 길이가 늘어나면서 근시가 진행되는 ‘축성 근시’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에 안구 성장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시각 정보가 전달되며, 실제로도 근시 진행을 늦추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어떤 아이들이 드림렌즈를 착용할 수 있을까요?

    드림렌즈는 만 6세 이상부터 적용 가능하며, 시력검사와 각막 지형도 등 정밀한 검사를 통해 적합 여부를 판단합니다.

    이런 경우, 드림렌즈는 하나의 유의미한 관리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단, 안구 구조나 눈물 양 등 개인의 조건에 따라 렌즈 착용이 어려운 경우도 있기 때문에, 사전 검사가 매우 중요합니다.

    고도근시, 단순한 시력 저하 이상의 문제입니다

    고도근시는 단순히 안경으로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로 보기 어렵습니다.

    드림렌즈는 그러한 접근을 가능하게 해주는 도구 중 하나로, 치료가 아닌 ‘관리’의 개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하드렌즈가 부담된다면? 마이사이트 소프트렌즈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 렌즈는 드림렌즈처럼 각막을 눌러주는 방식은 아니지만, 광학적으로 중심부와 주변부의 초점 위치를 조절하여 근시 진행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매일 새 렌즈로 착용하므로 위생 측면에서도 부담이 적고, 활동적인 아이들에게도 부담이 덜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드림렌즈는 ‘모든 사람에게 꼭 필요한 렌즈’는 아닙니다.

    하지만 근시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거나, 안경을 착용하기 힘든 상황에서 ‘안경 외의 방법’을 찾고 있다면 분명 고려해볼 수 있는 옵션입니다.

    저희 고양신세계안과에서는 드림렌즈를 무조건 권하지 않습니다.

    성장기 아이들의 눈은 하루하루 달라집니다. 그 변화의 흐름을 잘 읽고, 그에 맞는 ‘지속 가능한 시력 관리법’을 함께 고민해나가야 하지 않을까요?^^

    감사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